그들이 세상을 살아내는 방법-<Rent (렌트)>
ⓒ Rent
Rent
작사, 작곡, 극작 Jonathan Larson
원작 Giacomo Puccini's opera 'La bohème'
프로덕션
1994 Workshop
1996 Off-Broadway
1996 Broadway
1996 US National Tour
1998 West End
번안의 문제가 많이 아쉽기는 하지만,
90년대 후반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큰 인기를 얻은 브로드웨이 작품이다.
이 포스팅은 여기저기 많이 다뤄지고 있는 캐릭터들의 설명보다는
작품 창작의 배경과 사회/문화적 배경 관점에 조금 더 중점을 두었다.
1990년대는 빈곤과 노숙, 약물중독, 에이즈 발병의 증가 등
범죄와 죽음을 이끄는 여러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던 시기였다.
사회, 정치적, 그리고 사람들 개개인적으로도 불안하고 많은 변화를 마주하던
20세기 끝자락이었다.
1980년대 이후, 구체적으로 1990년대 동안 미국 뮤지컬은 성 정체성, sex, 에이즈 그리고 인종
차별 등 사회, 정치적 이슈들을 작품 테마 속에서 대면하고 있었다.
뮤지컬 Rent (렌트, 1996)는 그러한 사회에 대한 불안감을 지닌 젊은 아웃사이더 세대와,
20세기 마지막 연대를 살아가기 위한 그들만의 삶의 방식, 그들이 살아가던 그들만의 커뮤니티의
모습을 그려낸다.
오리지널 렌트의 컨셉을 창작한 Billy Aronson은 이 작품이 탄생하던 당시, 작품의 배경이
되는 뉴욕 맨하탄의 거리는 정부보조 없이 에이즈와 빈곤으로 죽어가던 홈리스들과
젊은 예술가들로 가득 했다고 회상한다.
렌트의 작곡가 Jonathan Larson (조나단 라슨) 또한 그의 죽음 직전 컴퓨터에
렌트가 탄생한 배경에 대해 설명을 남겼다;
‘불안하고 위험한 시기, 우리는 밀레니엄의 테러적인 삶에서 숨기 보다,
결속된 한 커뮤니티로서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야 한다 […] 차례로
죽음을 기다리는 (응시하는) 사람들로부터 어떻게 살아 남아야 하는 지 배울 수 있다 […]’.
렌트는 이전의 뮤지컬 Hair (1968)가 보여준 사회적 인식과 (그 인식/시각을 지니게 되는)
동기면에서 자주 비교되며 함께 이야기 되어 오는데, 사실 조나단 라슨의 렌트는 예술의 자유,
사랑과 우정의 관계를 그려내는 스타일이 Hair의 표물러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 두 뮤지컬의 사회적 견지는 분명 다르다. Hair가 자유를 갈망하는 일반적인 관점과
1960년대 후기 발생한 베트남 전쟁에 대한 항의적 메시지를 나타내고 있다면,
렌트는 이러한 포커스를 세계적인 관점이 아닌 일부 개개인과 그들의 불안정하고 거친 삶이 있는 뉴욕으로 옮겨 놓는다.
이 작품 속에서 비참한 삶을 버티기 위해 그들만의 커뮤니티를 결속한 젊은 예술가들은,
그들이 지고 있는 삶의 무게와 문제를 대처하기 위해 뉴욕의 외곽 빈민촌에서 서로를 의지해
하루 하루를 버티며 애쓰고 있다. 이것은 어떻게 먹고 살아야 할지 결정해야 하는 문제를 직면한
젊은 세대, 특히 아웃사이더들에 대한 현실적인 묘사이다.
ⓒ Rent, L.A. production.
20세기 말 뉴욕 변두리, 그들이 직면한 문제는 전쟁도 표현의 자유에 대한 갈망도 아닌,
H.I.V 감염, 빈곤, 하우스 푸어와 개인의 정체성, 그리고 그 가치에 대한 고민이다.
급변하는 사회현상 속에서 불안함을 느끼는 이 캐릭터들에게 이러한 고민은 새로운 사회적
공포증, 불안감 (social phobia, social anxiety)을 일으킨다.
평범한 삶을 사는 사람들과는 다르다는 이유로 그들의 삶과 예술은 정부로부터
아무런 지원을 받지 못하며, 안정되지 못한 그들의 삶은 더욱더 고립되고 고독 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그들은 넓은 사회와 그 규범에 순응하기 보다,
자유로운 보헤미안 스타일을 추구하며 자신들만의 커뮤니티 안에서 지내게 된다.
공통점을 지닌 몇몇의 가까운 사람들과 함께 하는 것이 사회 속에서 고립되는 것보다 더 나은 선택이기에.
ⓒ Rent, L.A. production.
이 작품의 캐릭터들은 단지 현대인들이 보일 수 있는 삶의 실패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과
남들과 다르다는 인식에서 느낄 수 있는 사회적 불안을 그려내고 있지만은 않다.
그들의 모습과 이야기는 현대 사회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삶을 살아나가는 아웃사이더들과 그들의 삶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관점을 제시한다.
렌트는 이러한 주제를 20여 년 전 비슷한 (비극적인 삶의 약자인) 캐릭터와 테마를 다룬
작품들 (예: Sweeney Todd, the Phantom of the Opera)에서 보여지는 것 보다
거칠지 않게 다루고 있다. 비극적인 삶 속에서도 희망을 버리지 않으며 나름의 삶을 살아간다.
이러한 특징이 아마도 렌트가 성공 이유 중 하나로 이야기 되는데, 특히 각 캐릭터들이 겪는
현실 속 좌절과 극복, 슬픔과 행복, 사랑과 우정 등의 감정에 공감한 젊은 관객들로부터
성공을 거둘 수 있었기 때문이다.
*덧붙이기... *
한번 왔다가는,
렌트한 인생.
어떻게 빌린 것을 잘 갚아야 / 살아가야 하는 지는,
우리가 풀어야 할 숙제일 듯...
** 참고 - 신조어 'RENT-heads'
가장 저렴한 day seat ticket을 사기 위해 공연 전날부터 밤새 극장 앞 매표소에
서 줄을 서 기다리며 열 번, 스무 번 같은 공연을 보면서도 환호하고 눈물을 흘리던 많은 팬들.
그들의 적극적이며 감성적인 공감은 뮤지컬 렌트가 이루어낸 가장 큰 예술(작품)적, 상업적 성과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djWlhlkEOPQ&feature=emb_logo
- 브로드 웨이 초연 멤버들의 열연이 돋보인 리바이벌 공연, 그 마지막 날 영상.
영상 올려주신 분, 복 많이 받으세요. :)
Seasons of Love
Five hundred twenty-five thousand six hundred minutesFive hundred twenty-five thousand moments so dearFive hundred twenty-five thousand six hundred minutesHow do you measure, measure a year?
In daylights, in sunsetsIn midnights, in cups of coffeeIn inches, in miles, in laughter, in strifeIn five hundred twenty-five thousand six hundred minutesHow do you measure, a year in the life?
How about love?How about love?How about love?Measure in love
Seasons of loveSeasons of love
Five hundred twenty-five thousand six hundred minutesFive hundred twenty-five thousand journeys to planFive hundred twenty-five thousand six hundred minutesHow do you measure the life of a woman or a man?
In truths that she learnedOr in times that he criedIn bridges he burnedOr the way that she died
It's time now, to sing out though the story never ends Let's celebrateRemeber a year in the life of friends
Remember the love
(Oh, you got to, you got to remember the love)Remember the love(You know that life is a gift from up aboveRemember the love(Share love, give love, spread love)Measure in love(Measure, measure your life in love)Seasons of love(Measure your life, measure your life in love)
*이 포스트는 평싱언니가 영문으로 작성했던 글의 일부를
한글로 자체 번역한 내용으로
기존에 사용한 참고문헌들과 일부 내용을 제외, 재편집 하였습니다.
*All rights reserved ⓒ